
![]() ![]() ![]() |
관련링크
본문
ㄱㄷㅈㅂ님의 댓글

평당 30포기 * 1년 2번 수확
vs
평당 180포기 * 1년 9번 수확
27배인데 왜 40배가 된 거지?
vs
평당 180포기 * 1년 9번 수확
27배인데 왜 40배가 된 거지?
1님의 댓글
1 이름으로 검색
이 바보 너 문과지?
녀ㅕㄴㅁ님의 댓글
녀ㅕㄴㅁ 이름으로 검색
인력을 넣어야지
123님의 댓글
123 이름으로 검색
스마트팜 궁금한거 있는데 관리는 쉬워도 어차피 따는건 수작업이잖아? 맞지?
아그배님의 댓글


대량 농업이면 기계식 수확 가능할걸?
우리나라도 규모만 있으면 다들 기계식 수확함
대신 규모가 작으면 기계값이 쎄서 엄두를 못냄
기계마다 다른데 탈착식이면 몇천이고
메인이면 평균 억대임
우리나라도 규모만 있으면 다들 기계식 수확함
대신 규모가 작으면 기계값이 쎄서 엄두를 못냄
기계마다 다른데 탈착식이면 몇천이고
메인이면 평균 억대임
디자인협회장님의 댓글

상장하면 투자해도됨?
ㅇㅇ님의 댓글
ㅇㅇ 이름으로 검색
풀매수
ㅇㄷ님의 댓글
ㅇㄷ 이름으로 검색
그러라고 요새 기사도 많이 나오고 여기저기 글 많이 뿌리는중
아그배님의 댓글

그냥 빛 좋은 개살구임
스마트 팜은 플랜트 구축하는데 돈이 너무 많이 들어감
뭐든 농자가 들어가면 비싸져서
나도 저거 알아봤는데 단가가 너무 비쌈 그래도 요즘은 좀 싸지긴 했을거임
지금은 공룡 독점 체제라 공룡은 성장이 가능한데 소규모는 고사하는 구조임
작물 단가는 높지만 그것도 경쟁 붙으면 가격 떨어지는 거고
저건 프랜차이즈 본사라고 보면되는거고 그 밑으로 들어가면 평생 본사에 돈이나 빨리다 죽는거임
어째든 저거도 규모만 갖춰진다면 할만한데 소규모는 시설비도 못 뽑는 구조임
저게 정말로 돈이 된다면 spc그룹이 지금 공장 오지게 돌리고 있을거임
스마트 팜은 플랜트 구축하는데 돈이 너무 많이 들어감
뭐든 농자가 들어가면 비싸져서
나도 저거 알아봤는데 단가가 너무 비쌈 그래도 요즘은 좀 싸지긴 했을거임
지금은 공룡 독점 체제라 공룡은 성장이 가능한데 소규모는 고사하는 구조임
작물 단가는 높지만 그것도 경쟁 붙으면 가격 떨어지는 거고
저건 프랜차이즈 본사라고 보면되는거고 그 밑으로 들어가면 평생 본사에 돈이나 빨리다 죽는거임
어째든 저거도 규모만 갖춰진다면 할만한데 소규모는 시설비도 못 뽑는 구조임
저게 정말로 돈이 된다면 spc그룹이 지금 공장 오지게 돌리고 있을거임
ㅁㅁㅁㅁ님의 댓글
ㅁㅁㅁㅁ 이름으로 검색
수익 개선되고 있으며
2019년부터 영업이익 나기 시작했음
2020년 결산발표는 안했는데 조만간 흑자전환 예상
2019년부터 영업이익 나기 시작했음
2020년 결산발표는 안했는데 조만간 흑자전환 예상
아그배님의 댓글


나는 좀 부정적으로 봄
시설이 돈벌려면 특작식물로 가야함
보통 화훼같은거 가야하는데
돈되는 특작은 버섯, 꽃인데
화분용 식물이 아닌 주로 팔리는 다발용 꽃은 크기가 있어서 저런 시설에서 키우기엔 비효율적임
버섯은 수지는 맞을건데 굳이 저런 고가 시설에서 키울 필요가 없음 저거보다 싼시설에서도 충분히 효율을 보임
그리고 저건 통계의 함정임
북부 기준으론 시설 하우스 같은경우 1년 2회 추수가 맞지만
중부지역은 1년 3회고 남부지방은 1년 4회 추수함
저 시설 사진이나 납품처 주력품종이 샐러드채소인데
저런 채소류 같은경우 남부는 연 4회이상 추수 가능함
지금이야 프리미엄이 붙어서 비싼건데 추후에도 비쌀지는 나는 잘 모르겠음
그렇다고 내가 저걸 너무 부정적으로 보고 있는건 아님
덴마크 같은경우 스마트 팜으로 넘어가고 있고
우리나라도 멀지않은 미래엔 스마트 팜으로 넘어갈거임
지금은 스마트 팜 초기고 효율이 썩 좋다고는 볼수 없음
저 회사는 스마트팜 초기 기술을 확보하는거고
위에 애들 말처럼 투자자적 목표로 본다면 채소를 파는것보단 기술축적으로 기술 프랜차이즈 가능한지 살펴보고 투자한다면 좋을거 같음
시설이 돈벌려면 특작식물로 가야함
보통 화훼같은거 가야하는데
돈되는 특작은 버섯, 꽃인데
화분용 식물이 아닌 주로 팔리는 다발용 꽃은 크기가 있어서 저런 시설에서 키우기엔 비효율적임
버섯은 수지는 맞을건데 굳이 저런 고가 시설에서 키울 필요가 없음 저거보다 싼시설에서도 충분히 효율을 보임
그리고 저건 통계의 함정임
북부 기준으론 시설 하우스 같은경우 1년 2회 추수가 맞지만
중부지역은 1년 3회고 남부지방은 1년 4회 추수함
저 시설 사진이나 납품처 주력품종이 샐러드채소인데
저런 채소류 같은경우 남부는 연 4회이상 추수 가능함
지금이야 프리미엄이 붙어서 비싼건데 추후에도 비쌀지는 나는 잘 모르겠음
그렇다고 내가 저걸 너무 부정적으로 보고 있는건 아님
덴마크 같은경우 스마트 팜으로 넘어가고 있고
우리나라도 멀지않은 미래엔 스마트 팜으로 넘어갈거임
지금은 스마트 팜 초기고 효율이 썩 좋다고는 볼수 없음
저 회사는 스마트팜 초기 기술을 확보하는거고
위에 애들 말처럼 투자자적 목표로 본다면 채소를 파는것보단 기술축적으로 기술 프랜차이즈 가능한지 살펴보고 투자한다면 좋을거 같음
484849님의 댓글
4848… 이름으로 검색
ㅋㅋㅋㅋ 빚 좋은 개살구래
저 기업이 단순히 저렇게 작물재배해서 파는걸로만 끝나는 기업이면 굳이 저런식으로 스마트팜했겠음?
작물 팔아먹는것도 이득이 남겠지만
플랜티팜이라고 따로 플랜트 과정 개발하고 팔아먹는 조직도 따로 있고, 실제로 식물공장 시설구축 상담도 받고있음
깔려면 알아보고 까든가
저 기업이 단순히 저렇게 작물재배해서 파는걸로만 끝나는 기업이면 굳이 저런식으로 스마트팜했겠음?
작물 팔아먹는것도 이득이 남겠지만
플랜티팜이라고 따로 플랜트 과정 개발하고 팔아먹는 조직도 따로 있고, 실제로 식물공장 시설구축 상담도 받고있음
깔려면 알아보고 까든가
아그배님의 댓글


한글을 쓰시는거 같은데 한글을 모르시네....
님 내가 한 말이 뭔지는 알고 이야기 하시는 건가요?
님이 한 모든말이 내가 한말에 있습니다.
님 스마트 팜이 뭔지는 아세요?
저 시설 취약점이나 강점 이런건 아시고 이야기 하시는 건가요?
님 내가 한 말이 뭔지는 알고 이야기 하시는 건가요?
님이 한 모든말이 내가 한말에 있습니다.
님 스마트 팜이 뭔지는 아세요?
저 시설 취약점이나 강점 이런건 아시고 이야기 하시는 건가요?
패왕님의 댓글

ㅋㅋ